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념어8

결과적 정의와 절차적 정의 및 결론 플라톤은 국가론에서 개인의 보편적인 덕으로서의 정의와 사회적 삶과의 조화를 꾀하였다. 즉 지혜, 용기, 절제의 덕이 서로 조화를 이룰 때 '선의 이데아'는 완성되며, 이러한 상태가 곧 '정의'라고 말한다. 이렇게 볼 때 정의로운 사회란 그 구성원들이 자기 역할과 의무를 다한 후, 마땅히 받아야 할 몫을 온전히 받는 사회를 말한다. 정의는 크게 공동체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정의와 개인의 복지를 목적으로 하는 좁은 의미의 정의로 구분된다. 좁은 의미의 정의는 다시 '분배적 정의'와 '교정적 정의'로 구분된다. 어느 경우에나 정의의 최종적인 지향점은 평등의 원칙을 기초로 한 공정성의 확립에 있다. '분배적 정의'는 이익과 부담을 공정하게 분배하는 것을 말한다. '교정적 정의'는 주로 국가가 .. 2023. 5. 28.
자유주의 및 평등주의 정의 및 양립 1. 자유주의와 평등주의의 정의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자기 결정권을 최대한 존중하고, 개인의 자율성과 경제적인 자유를 강조하는 정치 및 철학적인 원칙이다. 이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가 가능한 한 제한되지 않아야 하며, 정부의 권력과 개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을 주장한다.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자기 결정권에 대한 민주적인 가치를 강조한다. 개인은 자신의 의사에 따라 자유롭게 행동하고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개인의 생각, 표현, 종교, 출판, 사적 재산권, 경제 활동 등의 다양한 측면에 적용된다. 개인의 자유는 개인의 행복과 번영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창의성과 혁신을 장려한다. 또한, 자유주의는 정부의 권력과 개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제한된 정부의 역할을 주장한다. 개인.. 2023. 5. 26.
자유의지 및 결정론의 정의 및 문제 1. 자유의지 및 결정론의 정의 인간은 과연 자유로운 것일까. 인간에게는 자유의지가 있는 것일까, 아니면 환경의 노예인 것일까. 또 인간은 얼마만큼 자유로운가? 이러한 물음은 크게 다음 두 견해를 따른다. 인간의 행위뿐 아니라 모든 현상이 필연적이라 보는 '결정론'과 인간은 자유로운 선택에 따르는 것이라 보는 '자유의지론'이 있다. 그렇기에 '결정론'과 '자유의지론은 서로 대립되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자유의지론'에 의하면, 인간의 행위는 자신의 자유의지로 선택한 만큼 자연의 법칙에 지배되지 않고, 인간 스스로 행위의 원인이 되며, 따라서 인간은 자신의 행위에 대해 도덕적 책임은 진다. 이것은 우리의 삶이 우리의 의지대로 변할 수 있으며, 인간은 자유로베 생각할 수 있는 의지와 행동이 있다는 것이다. .. 2023.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