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념어

자유의지 및 결정론의 정의 및 문제

by 롬토리 2023. 5. 26.
반응형

1. 자유의지 및 결정론의 정의

인간은 과연 자유로운 것일까. 인간에게는 자유의지가 있는 것일까, 아니면 환경의 노예인 것일까. 또 인간은 얼마만큼 자유로운가? 이러한 물음은 크게 다음 두 견해를 따른다. 인간의 행위뿐 아니라 모든 현상이 필연적이라 보는 '결정론'과 인간은 자유로운 선택에 따르는 것이라 보는 '자유의지론'이 있다. 그렇기에 '결정론'과 '자유의지론은 서로 대립되는 것으로 보인다. 먼저 '자유의지론'에 의하면, 인간의 행위는 자신의 자유의지로 선택한 만큼 자연의 법칙에 지배되지 않고, 인간 스스로 행위의 원인이 되며, 따라서 인간은 자신의 행위에 대해 도덕적 책임은 진다. 이것은 우리의 삶이 우리의 의지대로 변할 수 있으며, 인간은 자유로베 생각할 수 있는 의지와 행동이 있다는 것이다. 적어도 인간을 선하게 하거나 적어도 덜 악하게 할 수 있으므로, 우리는 자유의지에 따라 선한 행동을 하기 위해 항상 노력해야 한다. 이에 비해 '결정론'은 이 세상의 모든 일이 일정한 인과관계에 따른 법칙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정론의 주장은 인간이 의지나 행위의 자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간의 행위 역시 인과적으로 이미 결정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연법칙, 사회화, 유전자 특성 등이 속한다.

2. 자유의지의 문제

자유의지(Free will)는 인간이 자신의 행동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주제는 철학, 심리학, 인지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자유의지에 대한 논의는 크게 호 의롭고 부정적인 입장으로 나뉠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자유의지를 인간의 중요한 특성으로 간주하며, 인간은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진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인간이 환경이나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보다는 자유롭게 선택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 다른 학자들은 자유의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인간의 행동은 유전자, 환경, 사회적 영향 등 여러 외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뇌과학 연구 등을 인용하여 인간의 행동은 예측 가능하고 인과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들은 자유의지의 정의와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자유의지가 완전한 자유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다른 의미에서는 선택과 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정도의 자유를 의미할 수도 있다. 자유의지의 문제는 여전히 학문적인 논의와 철학적인 탐구의 대상이지만, 현재까지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 논의는 계속되고 있으며, 더 많은 연구와 논의를 통해 자유의지의 본질과 범위에 대한 이해가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3. 결정론의 문제

결정론(Determinism)은 모든 사건과 현상이 이전의 원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을 말한다. 결정론적인 관점에서는 모든 사건은 과거의 원인과 현재의 조건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에 따라 인간의 선택과 행동도 결정론에 따라 예측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입장들이 있다. 결정론적인 입장은 인과적 관계와 원인-결과 연결을 강조하며, 자유의지와는 대립적으로 인간의 행동은 환경, 유전자, 생물학적 요인 등 외부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결정론은 물리학에서도 인과적인 관계와 원인-결과 체인을 강조하는 입장으로서, 물리적 법칙에 따라 모든 사건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결정론에 대한 주요한 비판은 자유의지와 책임의 문제이다. 만약 모든 것이 결정론에 따라 미리 정해져 있다면, 우리는 선택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을 수 없을 것이다. 이는 범죄, 도덕, 법률 등 사회적인 영역에서 중요한 문제로 다뤄진다. 또한, 결정론적인 세계관에서 인간의 선택이 없다면 도덕적인 가치, 동기부여, 교육 등의 개념도 의미가 없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결정론과 자유의지 사이의 관계는 여전히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거리다. 일부는 결정론과 자유의지가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일부는 두 개념이 상호 배제된다고 주장한다. 이 문제는 철학적인 논의와 학문적인 연구를 통해 계속 탐구되고 있으며,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습다.

반응형